MapleStory Finger Point
본문 바로가기
[CrashCourse] 압축 (컴퓨터 과학 수업 21/40) text 형식의 파일, wave 형식의 파일 등 지난 영상에서 파일의 저장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파일들의 크기가 비효율적이고 큰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압축(Compression)이 등장한다. 압축(Compression)이라 함은, 원래의 표현보다 더 적은 수의 비트를 사용하여 인코딩하는 것이다. 데이터를 압축하는 한 방법은 바로 '중복된 정보를 줄이는 것'이다. 이런 방법중 하나를 REL(Run Length Encoding)이라 하며 이는 파일 안에 동일한 값들이 있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방식이다. 파일 안의 중복되는 데이터의 중복 수를 명시하는 방법인데, 일관전 적용을 위해서 모든 데이터에 대한 추가 데이터가 생겨날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용량은 줄어든다. 또한 이렇게 압축하는 경우에 데이.. 2022. 9. 20.
[CrashCourse] 파일과 파일 시스템 (컴퓨터 과학 수업 20/40) 파일 저장방식과 조각화, 조각모음등의 개념등이 등장한다. 2022. 9. 19.
[CrashCourse] 메모리와 저장공간 (컴퓨터 과학 수업 19/40) 컴퓨터 메모리는 비영구적이므로 휘발성 메모리라 불린다. 저장장치(Storage)와는 다른 개념으로, 저장장치는 비휘발성이다. 과거에는 속도차이가 심하게 많이 났지만, 최근엔 개선되면서 구별이 모호해지고 용어가 섞였다. (주 기억장치, 보조기억장치로 불리운다.) 저장장치의 초기 형태는 종이펀치카드 그리고 구멍뚫린 종이테이프였다. 이는 수십년간 유용하고 대중적인 저장장치였으나 1회성이 강했다. 그리하여 실용적인 접근이 이뤄졌고 이는 지연기억장치(Delay Line Memory)의 개발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수은 안에서 음파를 전달시키면서 발생하는 지연으로 2진수(0,1) 형태의 자료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지연기억장치들을 통합하여 EDVAC이라 일컫었다. 이는 가장 초기의 프로그램 저장식 컴퓨터에도 사.. 2022. 9. 16.
[CrashCourse] 운영체제 (컴퓨터 과학 수업 18/40) 초기 컴퓨터는 프로그램 가동에 인력(입력이나 다음 프로그램 실행 등)이 필요하였다. 하지만 컴퓨터는 빠른 속도로 개발되고 개선되어 이 인력이 투입되는 과정이 오히려 비효율적여졌다. 그래서 자동으로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의 수행을 입력할 필요가 있었고, 이는 운영체제의 필요성을 야기시켰다. OS(운영체제, Operating System) 또한 하나의 프로그램이다. 단 하드웨어에 대한 특별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다른 프로그램을 실행, 관리하는 일을 수행할 수 있었다. 초기 OS는 1950년대에 컴퓨터의 기능이 강력해지면서 시작되었다. 일괄처리(Batch Processing)을 구현한 OS가 등장했고, 사람이 순서에 맞게 다음 프로그램을 실행시키지 않아도 알아서 그 기능을 구현하였다. 컴퓨터가 대중화되면.. 2022. 9. 15.
[CrashCourse] 집적회로와 무어의 법칙 (컴퓨터 과학 수업 17/40) 영상 소감 : 어렵다 ^_ㅠ 2022. 9. 15.
[CrashCourse] 소프트웨어 공학 (컴퓨터 과학 수업 16/40) 우리가 사용하는 프로그램들은 굉장히 거대한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 Microsoft사의 Office는 4천만 줄의 코드로 이루어져 있다고 하니, 굉장히 방대하다. 이러한 거대한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 개발자들은 일련의 도구를 사용하고 실습한다. 수많은 코드속에는, 수많은 함수가 있는데 이를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해 함수를 계층구조로 패키지화하여 관련된 코드를 객체로 모은다. 함수를 카테고리화하여 상위개념 아래에 하위 개념이 속하게 하는 의미인 것 같다. 이러하게 기능 단위를 중첩된 객체로 묶는 것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 Oriented Programming)이라 한다. 고차원 구성요소에 하위수준의 세부정보를 캡슐화하여 복잡성을 숨기는 모습이 OOP의 본질이다. 관련 언어로는 C++, C#, .. 2022. 9. 5.